함께 자라기
Table of Contents
1. 함께 자라기
2. 1. 자라기
- 업무는 작업 난이도와 현재 내 실력과 작업 난이도 측면으로 표현할 수 있다. 작업 난이도가 높은데 실력이 낮으면 불안하고, 실력은 높은데 작업 난이도가 낮으면 지루하다
2.1. 불안하다면?
불안한 경우에는 작업 난이도를 낮추거나 실력을 높이는 방법이 있다.
작업 난이도를 낮추는 방법은 일을 작은 단위로 나누자.
2.2. 지루하다면?
작업 난이도를 고의로 높이는 방법이 있다. 예를 들어 하루치 작업을 한 시간안에 끝낸다거나 하는.. 또는 생산성 도구를 많듦으로써 흠.. 생각해보면 최근 나는 django 프로젝트에서 설정값의 이상으로 에러 문구도 나오지 않게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django 의 코드를 직접 바꿈으로써 에러 문구를 보여주게 한다. 그 과정이 쉽지는 않다. 왜냐면 django 패키지의 특정 파일로 들어가서 특정 라인을 주석처리 한 다음 내가 만든 코드를 넣어야하기 때문이다. 이걸 자동으로 해주는 그런 코드를 만들 수 있지 않을까?
2.3. 실수 관리
실수를 하면 재빠르게 대처한다. 중요한건 실수 이후의 작업이다.
실수가 없을 수는 없다.
그러나, 실수가 발생했을 때 해당 실수에 대한 리뷰를 진행하고 액션플랜을 작성한다.
또한 이런 실수를 숨기기보다 공유하는게 중요하다.
2.4. 인지적 작업 분석
자신에 대한 메타인지를 높이는 누력을 해야한다. 내 머릿속을 관찰하고 질문을 던지고 분석한다.
내가 무엇을 할 줄 알고 못하는지를 명확히 해야한다. 할 줄 아는 것은 더 잘하기 위해 반복 훈련을 하자.
못하는게 있다면 왜 그것을 못하는지 생각하고 액션 플랜을 짜라.
인지적인 작업 분석은 문제를 어떤 과정을 통해 해결하는지에 대해 분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어떤 기능 개발에 있어서, 아래처럼 진행된다. 이 작업을 인지적으로 더 쪼개는 연습을 해야한다.
- 왜 그 작업을 해야하는지를 확인하고
- 어디를 어떻게 작업해야하는지 살펴 본 이후
- 그 작업으로 인해 어디가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 확인한 이후
- 작업을 한다.
이런 인지적인 작업을 다른 사람과 공유하면서 더 구체적으로 만들어 나간다.
3. 2. 함께
린 스타트업: 사업이나 사품을 개발하는 방법론 중 하나로 빠른 개발 주기를 통해 가설을 검증해 나가며 초기부터 고객과 함께 가는 특징이있음. 단순히하면 고객 개발과 애자일, 두 가지를 합친 것으로 볼 수 있다.